광주시, AI·데이터 기반 스마트 도시 확대…교통·안전·행정 혁신 가속

송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6 10:36:53
  • -
  • +
  • 인쇄
스마트 교차로·AI CCTV·민원 챗봇 등 시민 체감형 서비스 강화, 스마트 도시센터 구축 추진

 

▲방세환 광주시장 e-정책소통"데이터·, AI·데이터 기반,광주 미래를 열다".(사진=광주시)
[광주 세계타임즈 = 송민수 기자] 광주시가 디지털 대전환 흐름에 맞춰 교통·안전·행정 등 전 분야에 AI와 데이터 기술을 적극 도입하며 시민이 체감하는 스마트 도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방세환 시장은 26일 e-정책소통을 통해 “AI와 데이터는 시민 일상을 바꾸는 핵심 도시경쟁력”이라며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 구현을 위해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우선 교통 분야에 AI 기반 ‘스마트 교차로’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스마트 교차로는 실시간 교통흐름 분석을 통해 신호를 자동 조정함으로써 정차 시간을 줄이고 도심 혼잡을 완화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구간 검지장치 및 민간 내비게이션(카카오맵·T맵 등)과 연계돼 시민들에게 즉시 제공된다. 시는 내년에도 스마트 교차로 14개소와 교통정보 CCTV 7개소를 추가 구축할 계획이다.

안전 분야에서는 AI 영상분석 기술을 적용한 방범 CCTV 확충이 지속되고 있다. 이상행동·위험 상황을 자동 식별하는 시스템이 관제센터에 즉시 정보를 전달함에 따라 현장 대응 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있다. 시는 올해 방범용 CCTV 268대를 신규 설치했으며 내년에도 250대를 추가해 도시 전역의 스마트 안전망을 강화할 방침이다.

행정 서비스에서도 AI 기반 민원 대응 체계가 본격 가동되고 있다. 챗봇·콜봇을 활용한 24시간 민원 상담 서비스가 구축되면서 반복 업무 자동화, 민원 접근성 개선, 공직자 업무 효율 향상 등 행정의 질적 혁신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은 스마트 도시 계획에 따라 교통·방범·소방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 도시센터’ 구축이 추진 중이다. 센터가 완공되면 도시 운영 관리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방 시장은 “광주시는 AI 기반 스마트 도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시민 안전과 생활 편의를 높이는 혁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관련 정책 소통 내용은 광주시청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가능하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