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CRE 감염증’ 확산에 12개 의료기관과 감소전략 사업 추진

송민수 / 기사승인 : 2025-09-09 07:52:35
  • -
  • +
  • 인쇄
○ ’25년 도 상반기 CRE 감염증 신고건은 6,365건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
(’22년 6,600건/ ’23년 8,878건/ ’24년 11,085건)
○ 도는 CRE 감염증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CRE 감염증 선별검사 지원 등 ‘CRE 감염증 감소전략’ 사업 실시
○ ’25. 7월 도내 12개 참여 의료기관 사업 착수, 도 감염병관리과 사업설명회·현장지원 완료 및 매월 정담회 개최


[경기도 세계타임즈=송민수 기자] 경기도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CRE(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균종) 감염증에 대해 선제적 대응과 철저한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CRE 감염증은 장내세균이 강력한 항생제인 카파베넴에 내성을 가지면서 발생하는 감염증이다. 주요 원인으로 세균감염 질환 치료 시 항생제 오남용이 꼽히며, 노인이나 장기입원 환자 등 주로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서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적절한 항생제 처방과 CRE 감염증 환자 및 보균자 격리 등 감염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도내 CRE 감염증 신고 건수는 2022년 6,600건, 2023년 8,878건, 2024년 11,085건, 2025년 상반기 6,336건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경기도는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과 수원요양병원·스마일요양병원·행복한요양병원(수원), 참조은병원·선한빛요양병원(광주), 백송의료재단 굿모닝병원(평택), 플러스 의료재단 단원병원(안산), 더드림요양병원(의정부), 메디홀스요양병원·미소요양병원(부천), 현대요양병원(안성) 등 12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선별검사 지원과 감염관리 환경 강화 등의 ‘CRE 감염증 감소전략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감염증 발생 현황과 사업 개요, 성과지표 관리 등을 공유하는 사업설명회를 개최했으며, 7월부터는 의료기관별 현장 지원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한 의료기관별 맞춤형 개선안을 제공해 실효성 있는 감염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9월부터 매월 정담회를 열어 의료기관과의 소통을 통해 사업 수행 현황, 감염관리 정보 등을 적극 공유함으로써 의료기관의 감염병 관리 대응 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한정희 경기도 감염병관리과장은 “CRE 감염증은 고위험군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만큼 예방과 신속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경기도는 꾸준히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능력을 강화하고,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의료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