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그녀는 마지못해 내 질문에 대답했다.
마지 못하여 ~하다 의 뜻으로는 어떤 영어를 쓸까? 먼저 reluctantly가 있다. Reluctantly는 부사형으로 마지못해서, 꺼려하여, 싫어하여 의 뜻이 있다. 그래서 do it reluctantly 하면 그것을 억지로 하다가 되고 reluctantly admit it 은 마지못해 그것을 인정하다 가 된다.
또한 마지못해 양보하다 도 reluctantly grant a concession 이다. 영화대사에 나왔던 no longer able to cope, I reluctantly decided to leave here 도 더 이상 함께 할 자신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전 여기를 떠나기로 했습니다 이다.
여기서 no longer~ 는 더 이상 ~이 아니다 이다. No longer that 은 ~할 자신이 없다 로써 that 뒤에는 주어가 와야 한다. 예를 들면 No longer think that I can care you forever (널 영원히 돌봐줄 자신이 없다) I know we are no longer together (어차피 우린 더 이상 안 볼 사이란 걸 안다) 참고로 I must face the music 또한 어쩔 수 없이 ~ 한다 혹은 울며 겨자 먹기로 한다 의 뜻을 가진 문장이다.
<유사표현문장>
@ I couldn’t help it
어쩔 수가 없었어요
@ I reluctantly have to stop studying
난 어쩔 수 없이 학교를 그만둬야 합니다
@ I don’t want to go to work today but I must face the music
오늘은 일하러 가기 싫지만 어쩔 수 없습니다
@ I don’t want to do anything too contrived
난 어떤 일이던 억지로 하긴 싫다
A) Had you meeting with them today?
그 사람하고 오늘 미팅하셨어요?
B) Yes I had, but they reluctantly came there
네 했어요, 그런데 마지못해서 왔더라 구요
A) What? Oh my god, men and melon are hard to know
뭐라고요? 저런 세상에, 사람 속은 참 알 수 없네.
우보현 작가(칼럼니스트)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