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학박사 최무웅(건국대학교명예교수) |
지구에서 인간세의 탄생은 10만년 전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지구생태환경의 순환시스템에 순응하고 있다고 강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지구표층의 화석이 생생하게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류는 거대지구환경 순환에서 동족이 삶의 안정성을 만든 영역은 삶의 활동영역의 안전성 확보하기 위한 경쟁은 동물의 생의 본능적 행위의 발전이 오늘의 국가로 진화해 왔다고 한다면 그 역사는 경쟁, 분쟁, 침략, 이동, 정주는 자연적 시스템의 거대순환의 구분을 영역 즉 영토를 수호하려는 본능적 행위는 인간세의 기본이다.
이런 것을 조금 생각하면 인류는 환경에 적응하는 생태환경의 거대 시스템의 순환을 변함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는 탄생 성장 사망의 순환은 불변적이다. 이런 기틀 속에서 동거동족의 결속은 생을 위한 기본이 시간이 흐르면서 단단한 결속이 국가를 형성은 인류의 멋진 창업이다. 그러므로 인류는 지구생태 순환 시스템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지만 과학이라는 생각과 행동이 인간세의 씨앗을 찾아 우주공간에서 그 실마리를 찾고 있다는 것은 인류의 생각과 행동의 CPU가 현존 생태환경에서 가장 우월한 종이 되었다.
인류는 밀도가 조밀하면서 관리를 위한 생태환경을 형성하는 특성이 민족국가를 만들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면서 미풍양속 법 과 질서 양심과 비양심 먹거리 경쟁과 분쟁은 생의 기본적 순환 속의 본능적 행동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와 다는 영역 인들과 생 과 사의 싸움에서 승리하면 패배자의 사람을 즐거운 잔치로 하고 그들의 해골을 영토에 전시하므로 강자를 표시하는 것은 얼마 전까지 그렇게 했었다.
그러나 인간세의 인류는 생태환경의 탄생순환 처럼 점차 질서를 만든 것은 패자를 목적에 이용하면서 공통성이 발생하여 같은 종으로 생각하면서 강한 단체가 확산 상대를 힘으로 먹어 치던 것을 강자가 되기 위해 함께 협력이 환경순환을 자연 생태화하는 것이 다양한 삶의 형식으로 나타났다.
그런 와중에서 움직이지 못하고 소리도 못 내고 사냥도 못하는 사람이 무엇에 대한 오랜 경험에서 생태환경 순환이라는 것을 기억한 것이 순환하는 것이 자연적이라는 것도 기억하게 되면서 죽음은 신성시하여 힘을 드리지 않아도 생태환경이 순환되는 것을 인정하고 처리한 것이 예라는 것으로 그 표시를 하기 시작한 것이 문명이라면 그것을 그렇게 표현하기까지는 아주 오랜 기간이 걸렸다.
인류가 시간구분을 개수로 반복하면서 동족이 움직일 수 없는 상태 즉 사망을 생태환경으로 순환하게 하는 것은 자연계의 변화를 깨닫고 행한 것이 결국은 인간의 존엄성이 간과 되 조금 더 관계를 기억하는 것이 순환이라는 표현이 다양한 것이며, 윤회 즉 순환을 표시한 것이 여러 형태의 표시를 장례라고 하여 가장 가까운 사람이 움직이지 못하면 또다시 우리와 같이 살아갈수 있을 것이므로 잘 잘수 있게 하는 것이 묘지가 되어 다양한 미풍양속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존엄성은 자연과 싸워 승리하는 것이 순환을 인정하게 된 것이다.
집단 즉 나라마다 삶의 규율이 인간의 존엄성을 최고로 하여 묘지를 만들어 기의 이야기를 전하는 표시로 된 거시문화와 문명이 세계문화의 불가사의한 것을 만든 것이다. 이제 한없이 큰 줄 알았던 것이 너무 비좁아져 산자와 죽을 자를 구분하여 죽은 자를 생태환경에 순환케 한 것이 풍수지리가 만들어져 사럐변함이라는 규칙이 이루어져 오지만 이제 좁은 곳에 죽은자의 표시는 더 이상 비좁아 사람의 죽음의 처리는 생태계 순환의 기반인 토양비료로 해야 식생이 성장하는 것으로 냉정하게 변하고 있다.
경제활동 사회가 되면서 모든 것이 화페 돈으로 탄생에서 죽음까지 아니 죽은 후도 표시하는 것을 이제 시대에 걸맞게 하기 위해 경제적 순환적인 것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감안순환을 해야 하는 시대적 변곡점에 와 있다.
지금까지는 장례가 매장 화장 분장이었다는 것은 결국 생태계 순환형이다. 그러므로 보다 경제적 그리고 생태 환경적 처리가 과학적인 기틀이 되어야 한다는 공감하므로 죽은 자를 생태 순환하기 위한 매장 화장 등의 방법이지만 경제적 손실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환경을 생각하는 시대이므로 냉동 건조 분말을 지표의 토양화로 식생이 성장하는 원천으로 순환하는 방법이 장수시대에 새로운 생태환경이 되고 있는 미래가치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 대표, 세계타임즈 고문, 한국갈등조정학회 회장 mwchoi@konkuk.ac.kr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