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세계타임즈 |
정상적으로는 잇몸으로 채워져 있어야 할 공간이 치석에 의해 파괴되어 사라지고 그 자리를 치석이 차지하는 것이다. 치석이 적을 경우에는 치석 제거 후 잇몸이 회복하면서 약간은 그 공간이 건강한 잇몸으로 채워질 수 있지만 치석이 많은 경우에는 그 공간이 잇몸으로 채워지는 데 한계가 있다.
스케일링은 초음파 진동으로 치아에 붙어 있는 치석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그 진동으로는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치아의 겉을 손상시킬 수 없다. 치아를 변형시키려면 치아를 깎을 때 쓰는 고속 엔진을 써야만 가능하다. 치아의 맨 바깥층인 법랑질은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이어서 아주 강한 힘이 아니면 쉽게 깎이지 않는다.
![]() |
▲ 스케일링할 때는 캐비트론이라는 초음파 진동 기구를 사용한다. 미세 진동으로 치아에 강하게 붙어 있는 치석을 제거할 뿐이지 치아의 가장 단단한 법랑질에 손상을 줄 수는 없다. |
![]() |
▲ 치아를 깎는 고속 엔진 정도 되어야 치아를 깎을 수 있다. 스케일링할 때 쓰는 초음파 진동과는 확연히 다르다. |
스케일링할 때는 캐비트론이라는 초음파 진동 기구를 사용한다. 미세 진동으로 치아에 강하게 붙어 있는 치석을 제거할 뿐이지 치아의 가장 단단한 법랑질에 손상을 줄 수는 없다.
치아를 깎는 고속 엔진 정도 되어야 치아를 깎을 수 있다. 스케일링할 때 쓰는 초음파 진동과는 확연히 다르다.
스케일링은 한 번 하면 평생 해야 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하지 않으면 평생 후회할 것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한 표현이다.
평생 스케일링을 하지 않아도 되는 사람은 없다. 그것은 평생 목욕도 안 하고 때도 안 미는 것과 같은 말이다. 아무리 좋은 옷과 명품을 휘감아도 때를 안 밀면 어떨까? 오죽하면 국민들이 가장 많이 앓고 있는 잇몸 질환 예방을 위해 국가에서 스케일링을 전면적으로 보험화 했겠는가?
누구나 음식을 먹으면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찌꺼기가 쌓인다. 그러므로 주기적으로 반드시 청소를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는 스케일링에 보험이 적용되어서 경제적인 부담이 줄었으니 부담 없이 스케일링을 받을 수 있다.
치석이 제거되면 치석이 제거된 공간만큼 잇몸이 벌어지고 그 공간을 통해 치아의 뿌리 쪽으로 자극이 가서 시릴 수 있다. 하지만 심하지 않은 경우 서서히 회복되면서 잇몸은 오히려 더 건강해진다. 물론 치석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치아 뿌리로의 자극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시린 증상이 좀 더 오래 갈 수 있다.
그러나 이것 또한 서서히 나아진다. 스케링일 후에 시린 것이 싫다고 치석을 제거하지 않으면 나중에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야 한다. 다시 말해서 스케일링을 해서 치아가 시린 것이 아니라 치석을 너무 오래 제거하지 않아서 스케일링 후에 시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 |
▲ 치석이 치아 뿌리 쪽으로 생긴 경우에 치석을 제거한 직후에는 잇몸과 치아 뿌리 사이가 벌어져 치아 뿌리 쪽으로 자극이 생길 수 있다. |
![]() |
▲ 온도에 민감한 치아 뿌리 쪽으로 특히 차가운 자극이 들어가면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점차 잇몸이 회복하면서 서서히 나아진다. |
스케일링은 치아에 초음파 진동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치아가 시큰거릴 수 있다. 치석이 많은 경우 치아의 뿌리를 더 많이 건드리고, 잇몸 염증이 있는 경우 염증 부위를 더 많이 건드리므로 치석이 쌓여 있는 정도에 따라 스케일링할 때 통증의 강도가 크다. 결국 치석 제거를 너무 오랫동안 하지 않거나 치석이 많이 쌓여 있을수록 스케일링할 때 더 아프고 불편할 수 있다.
결국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하면 치석이 많아질 시간이 없기 때문에 스케일링 할 때 많이 아프지 않다. 최근에는 표면 마취나 가글 마취와 같이 통증 없이 간편하게 잇몸 전체를 마취할 수 있어 사실상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