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임즈 = 최성룡 기자]경남 창원시 진전면 시락마을. 바다 위에 세워진 해상펜션을 가리키며 한 주민이 고개를 저었다. 지난 2024년 6월, 검붉은 불꽃이 바다를 뒤덮었다.
정부의 어촌뉴딜300 사업으로 건립된 해상펜션 한 채가 불에 타오르던 그날, 시락마을은 공포와 혼란에 휩싸였다.
지금, 그 불탄 펜션은 바다 위에서 반쯤 쓰러진 채 방치돼 있다. 녹슨 철골과 타버린 외벽, 검게 그을린 창틀이 바닷바람에 흔들릴 뿐이다.
“불연재료 썼다더니, 어떻게 이렇게 탈 수 있죠?”
기자는 해상펜션 군락으로 향했다. 바다 위에 띄워진 다섯 채의 펜션 중 하나는 화재로 반파돼 흉물로 남아 있었다. 멀리서 봐도 녹아내린 외벽이 선명했다. 주민 A씨는 입을 굳게 다문 채 말했다.
“이게 4억 들인 건물이라구요. 우리 동네 펜션보다도 못해 보여요. 부력도 문제라던데, 일부는 가라앉으려다 말았어요.”
이 펜션들은 불연성 FRP(강화플라스틱), 난연 외장재로 만들어졌다고 설명되었지만, 정작 실제 화재 앞에서는 속수무책이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전기적 요인에 의한 자연발화라며 책임을 부인했지만, 주민들의 시선은 싸늘했다.
부실 시공, 설계 결함…해상 위에 드리운 의혹
이 사업은 총 120억 원 규모. 그 중 해상펜션에만 20억 원 이상이 투입되었다. 그러나 현장 곳곳에서 ‘부실시공’의 흔적이 목격된다. 일부 펜션은 구조물 일부가 침하됐고, 일부는 부식이 진행된 상태였다.
펜션에 사용된 자재가 명세와 일치하는지, 시공과정에서 설계도면이 제대로 반영됐는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정상 자격 업체가 시공했고, 점검도 마쳤다”고 밝혔지만, 마을 주민들은 이미 해양경찰에 수사를 요청한 상태다.
“희망에서 흉물로”…떠 있는 건 펜션이 아니라 분노
마을 주민 B씨는 “이게 나라에서 주는 희망이라더니, 사람만 상처받고 있어요. 저 펜션들, 애초에 누구를 위한 거였는지 모르겠어요.” 말했다
‘어촌뉴딜300’은 낙후된 어촌을 살리기 위한 대표적 국책 사업이다. 그러나 시락마을 해상펜션 화재는 단순한 사고를 넘어 사업 전반의 투명성과 타당성을 되묻게 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진실이 떠올라야 합니다”
한국농어촌공사 창원지사는 6월 준공검사를 앞두고 안전점검과 보완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주민들의 신뢰는 이미 무너졌다.
전문가들 또한 철저한 감사와 공정한 수사를 통해 사업의 정당성과 실행 과정을 검증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바다 위에 떠 있는 건 펜션이 아니다. 분노와 허탈, 그리고 ‘무너진 믿음’이다. 시락마을 주민들은 여전히 묻는다. “도대체, 이게 정말 4억짜리입니까?”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