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그 누구에게도 신세지고 싶지 않습니다.
신세를 지다 를 영어로는 be + beholden 이다. 그래서 was beholden 하게 되면 신세를 많이 지었습니다 가 된다.
예를 들어 I was beholden to the people(저는 많은 사람에게 신세를 지었습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그 사람에게 신세를 지고 싶지 않다 라고 할 때 make him trouble 혹은 make him tired를 쓰는 경우가 많다. 구태여 틀렸다 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뭔가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be + beholden 이라고 해야 옳다.
예를 들어 I am beholden to you for your kindness(신세 많이 졌습니다 친절하게 대해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유사표현문장>
@ She was beholden to her boyfriend
그녀는 그녀의 남자친구에게 많은 신세를 졌다
@ I am much obliged to the people
이래저래 여러 사람에게 신세만 지고 산다
@ I have to hinge on my brother for the tuition
나는 형에게 등록금 신세를 져야 한다
@ We are beholden to this house from him
우리는 그로부터 이 집을 신세지고 살고 있다
A) Why don’t you ask her to help if you’re in trouble?
문제가 있으면 그녀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그래?
B) No, never. I don’t want to be beholden to her
아니, 절대로. 난 그녀에게 신세지기 싫어
A) But you have no other choice I think
그래도 내가 보기엔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 같은데
우보현 작가(칼럼니스트)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