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는 계속 하락 주담대 최저 금리 2.90%까지 떨어져
"부동산 규제·정책대출 요건 완화하면서 은행더러 대출은 줄이라니
5대 은행 가계대출 잔액 추이(단위: 억원)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자료 취합 | ||||
2023년 12월말 | 2024년 5월말 | 6월말 | 7월 4일 | |
가계대출 | 6,924,094 | 7,032,308 | 7,085,723 | 7,107,558 |
전월비 증감 | 20,238 | 52,278 | 53,415 | 21,835 |
주택담보대출 | 5,298,922 | 5,463,060 | 5,521,526 | 5,529,913 |
전월비 증감 | 36,699 | 53,157 | 58,466 | 8,387 |
신용대출 | 1,064,851 | 1,029,924 | 1,027,781 | 1,038,660 |
전월비 증감 | -12,340 | 1,874 | -2,143 | 10,87 |
우리나라 가계대출은 2020∼2021년 코로나19 사태 초기의 0%대 초저금리 상태에서 폭발적으로 늘었다가, 2021년 8월 통화정책이 긴축 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이후 증가세가 다소 진정됐다.하지만 최근 다시 월 증가 폭이 약 3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등 기준금리 인하가 아직 시작되지도 않았는데 이미 금융 시장 참여자들은 피벗통화정책 완화을 확신하고 앞서 움직이는 분위기다.은행권은 구체적 가계대출 증가 배경으로 부동산 경기 회복, 공모주를 비롯한 국내외 주식 투자 자금 수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실행(9월), 정책자금 대출 증가, 금리 인하 등을 꼽고 있다.우선 부동산 시장이 다시 들썩이면서 이른바 영끌 수요가 몰리고 있다.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20% 올라 2021년 9월 셋째 주0.20% 이후 약 2년 9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시중은행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값이 전반적으로 오르면서 은행 창구 등에서 체감할 수 있는 대출자들의 주택 매수 심리가 꽤 강한 상태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월별 평균 신용융자 잔고(유가증권시장+코스닥) (단위: 백만원) ※ 금융투자협회 일 잔고 통계로 평균 시산 | |
2023년 12월 | 17,430,994 |
2024년 1월 | 17,981,349 |
2024년 2월 | 18,062,915 |
2024년 3월 | 19,103,448 |
2024년 4월 | 19,287,087 |
2024년 5월 | 19,438,758 |
2024년 6월 | 20,020,173 |
2024년 7월 | 20,023,414 |
여기에 주식 대출로 투자 수요까지 살아나고 있다.5대 은행에서 신용대출이 나흘 만에 1조원 넘게 불어난 데는 지난 2∼3일 진행된 게임업체 시프트업의 일반투자자 대상 상장 공모 청약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짐작된다.이번 공모주 청약에 18조5천억원 이상의 증거금이 몰렸는데, 청약 신청자의 상당수가 은행 신용대출로 자금을 조달했을 가능성이 있다.공모주뿐 아니라 최근 국내외 증시 활황도 빚투를 자극하고 있다. 코스피는 5일 2,862.23으로 2022년 1월 18일2천902.79 이후 2년 5개월여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미국 뉴욕증시에서도 5일현지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5,567.19)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8,352.76 모두 사상 최고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이에 따라 월평균 신용융자 잔고유가증권시장+코스닥는 지난해 12월 17조4천309억원에서 올해 들어 ▲ 1월 17조9천813억원 ▲ 2월 18조629억원 ▲ 3월 19조1천34억원 ▲ 4월 19조2천870억원 ▲ 5월 19조4천387억원 ▲ 6월 20조201억원 ▲ 7월4일까지 20조234억원 등으로 계속 불어나는 추세다.신용융자는 주식을 매입하기 위해 증권사에서 신용대출을 받는 것으로, 이 잔고가 계속 늘어나는 것은 그만큼 투자자들이 빚투를 많이 하고 갚지 못한 대출도 쌓여간다는 뜻이다.최근 인기가 뜨거운 미국 주식 투자의 경우 국내 증권사의 신용융자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만큼, 주로 마이너스 통장을 활용한다는 게 은행권의 전언이다.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달 초나 지난 4월 등 신용대출이 눈에 띄게 많이 늘어날 때 좀 더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직장인 중심으로 마이너스통장 한도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신용대출은 일반적으로 주택담보대출보다 금리가 높기 때문에, 명절을 앞둔 자금 수요 등 계절적 요인이 아니라면 주로 대출이자 이상의 수익률을 기대하는 국내외 주식 투자 수요와 관계가 있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시중은행 대출 금리·채권 금리 추이 ※ KB·신한·하나·우리은행, 금융투자합회 자료 취합 | |||
2024년 6월 21일 | 2024년 7월 5일 | 변동폭 | |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기준) | 연 3.740∼6.732% | 연 3.800∼6.614% | +0.060%p, -0.118%p |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 | 연 2.940∼5.445% | 연 2.900∼5.370% | -0.040%p, -0.075%p |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 | 연 4.160∼6.160% | 연 4.030∼6.030% | -0.130%p, -0.130%p |
코픽스(신규취급액 기준) | 3.560% | 3.560% | 변동 없음 |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 3.454% | 3.396% | -0.058%p |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 3.505% | 3.331% | -0.174%p |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