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채용 갈수록 줄고, 교대 인기도 하락세
교육 재원→저출산대책 재원' 등 갑론을박도 벌어져
이 가운데 세종은 선발인원이 한 해 사이 70명에서 10명으로(-85.7%), 충북은 80명에서 32명으로(-60.0%) 줄어 감소 폭이 무려 50%를 넘었다.인천(-19.6%)·울산(-20.0%)·경북(-19.9%)·강원(-19.4%) 등도 감소 폭이 20% 안팎에 달했다.이에 전국 교대의 수시모집에서 상당수 미달이 발생하는 등 교대나 교육 관련 학과의 인기로 하락세를 걷고 있다.서울지역의 경우 공립유치원 교사는 아예 1명도 뽑지 않았다. 대전의 경우 유치원 교사 모집인원이 1명, 광주는 3명, 대구는 4명에 불과했다.공립 위주 초·중·고교의 경우 숫자 자체가 급격하게 줄지는 않고 있지만, 학생 수가 줄면서 통폐합하는 학교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특히 농어촌뿐 아니라 서울 등 대도시 구도심 지역에서도 소규모 학교가 늘어나는 양상이다.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소규모 학교(초교 240명·중고교 300명 이하)는 119곳으로, 2014년보다 84곳이나 늘었다. 학생 수 급감 지역은 학급당 학생 수가 15명 이하까지 낮아지고 있다.유치원의 경우 사립유치원을 기준으로 폐원이 이어지고 있다.한국교육개발연구원이 내놓은 2023 교육기본통계로 살펴본 한국 교육 현황에 따르면 2023학년도에 공립유치원이 34개교 신설됐음에도 141개 사립유치원이 폐원했다.한해 유치원 감소 규모가 121곳에 달했다는 얘기다.유치원 학생 수 감소와 같은 추세로 이어지고 있어 유·초·중등교육 정책 대안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러한 학령인구 감소는 교육예산의 활용 방식을 둘러싼 논란에도 불을 댕겼다.전국 교육청에 배분돼 유·초·중·고교 교육예산으로 쓰이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은 내국세의 20.79%와 국세 교육세 일부로 조성되는데, 내국세 규모가 늘면서 함께 늘어나는 추세다.학령인구가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여서 일간에서는 교육 부문의 곳간이 남는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학생 일인당 과잉투자가 벌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교육계는 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과밀학급·과대학교 문제가 여전하고, 유보통합(유아교육·보육통합), 늘봄학교, 고교학점제 등 중장기적 교육정책을 제대로 펴려면 교육예산이 풍족하지 않다고 주장한다.인구가 감소하더라도 국가 총예산을 줄이기 어려운 것과 같은 이치라는 얘기다.반면에 재정당국을 중심으로는 교육교부금 용처를 조정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아예 내국세 일부를 교육 분야에 쓰도록 한 산정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지난해부터 유·초·중등 예산 일부를 떼어 고등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고등·평생교육특별회계를 신설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최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서는 교육교부금 일부를 저출산 대응 예산에 쓰자는 제안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학생 수가 줄어드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출산율 자체를 높이는 수밖에 없으므로 저출산 대응 예산을 늘리는 게 우선 순위라는 얘기다.다만 이는 관련 법을 개정해야 하는 데다, 정치권은 물론 사회 전반의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맞서는 사안이라 당장은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유치원 학생 수 감소로 인한 유치원 폐원 등의 현상은 이제 추세로 이어지고 있다며 유·초·중등교육 정책의 대안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