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원 백지화 주장하지만, 오늘 수시모집 시작돼 사실상 '불가능'
자칫하면 의사들 목소리만 배제될 수도 대화 참여해야 주장 나와
익명을 요청한 지방 전공의 A씨는 협의체에 의료계의 뜻이 잘 반영될지 의문을 가지는 분위기라며 정부가 여론전을 하는 것이라고 불신하는 이들이 다수로, 의사가 주체가 되는 협의체가 아니면 참여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라고 전했다.다른 전공의 B씨는 정부와 의료계가 합의해야 한다는 소리는 한 번도 들어보지 못했다며 사직한 전공의들은 병원 취직이 아니더라도, 따로 하는 경제활동이 거의 정착된 상태라 정부가 생각하는 것만큼 급박하게 반응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전공의 C씨는 전공의나 의대생들은 협의체가 대단한 제안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 것 같다며 정부가 약속을 어긴 선례가 많은 만큼 협의체 제안도 공수표 아니냐, 이전 정부의 행보와 다른 바를 못 찾겠다 이런 반응이 주된 분위기라고 전했다.정부가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 전공의들은 정부가일종의 요식행위를 한 번 더 하려는 것 아닌가 하는 정도로 상황을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현재 휴학 중인 한 의대생도 이전과 비교해 전혀 변한 게 없다고 여긴다고 의대생들의 분위기를 전하며 2027년 정원부터 논의하자는 의협 제안도 전공의들은 받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다만 소수 의견이긴 하지만, 의사 사회 내에서는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도 한 대표가 여야의정 협의체를 제안한 당일 여당 대표가 여야의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국민들과 의료현장의 의견도 충분히 들어야 한다고 밝힌 것은 긍정적이라고 환영했다.
익명을 요구한 전공의 D씨도 전공의들이 바라는 게 의료 파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합리적인 논의를 바라는 거라 협의체 구성 자체는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이미 진료지원(PA) 간호사 합법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등 정부 정책이 자리를 잡기 시작한 점을 고려했을 때 이대로 계속 대화에 나서지 않는다면 조금의 실익도 챙기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익명을 요청한 한 병원장은 대화에 참여하지 않을수록 앞으로 의사들의 의견이 정책에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이미 여러 정책이 진행 중인데, 증원에만 매몰돼 있느라 다른 것들은 다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민주주의 사회에서 자기들이 원하는 걸 일방적으로 이루는 건 불가능한 얘기라며 일반 노동조합도 파업 시에는 막판에 가서 조금씩 양보하며 사측과 합의하고 그다음을 노리는데, 의사단체들이 증원 백지화를 계속 주장하면 마지막엔 실리를 엄청나게 잃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지금 대학병원을 제외한 다른 병원들에서는 그동안 상급종합병원에 가던 환자들이 많이 찾아와서 좋으면서도 표정 관리 중이라며 결국 손해는 전공의와 의대생들만 보게 될 텐데, 선배 의사들이 대화에 참여해 정부에 대응하는 모습이라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