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노조 관계자들이 1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대우건설 신임사장 낙하산 인사 결사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16.07.18. 사진제공 뉴시스
[세계타임즈 심귀영 기자]지난해 낙하산 논란이 일었던 대우건설 박창민 사장이 특검에서 '최순실 낙하산'이라는 정황이 드러났다. 이에 노조는 '관피아'와 '정경유착' 척결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박영수 특검팀은 이상화 전 KEB하나은행 본부장의 휴대전화에서 지난해 7월1일 최순실씨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찾았다. 확인 결과 이 본부장이 자신들과 소통이 원활하다는 이유로 박 사장을 대우건설 사장에 추천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이런 문자가 오간 것으로 확인된 시점에서 불과 한 달여 뒤인 지난해 8월23일 박 사장이 대우건설 사장에 올랐다.
이에 '최순실 낙하산' 의혹 제기와 함께 정경유착을 뿌리뽑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해 여름, 대우건설은 '낙하산 사장'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대우건설 사장추천위원회(사추위)는 박영식 당시 사장의 임기종료를 앞두고 지난해 6월 새 사장 물색을 시작했다. 당시 업계에 따르면 박 사장의 연임과 함께 이훈복 대우건설 전략본부장(전무) 후보의 사장 선임이 유력하게 거론됐다.
하지만 사추위에서 외부인사를 포함 사장 후보 재공모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입장을 돌연 바꾸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박 영식 당시 사장의 임기 만료를 불과 20여 일 앞둔 때였다.
사추위는 이에 침체된 건설업황을 타개하고 빠른 시일내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내·외로 후보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출신'보다 '경영능력'을 더 중시해야 할 때라는 설명이었다.
그동안 대우건설에서는 '사장은 대우 출신'이라는 불문율이 있었다.
대우건설은 그간 건설업계에 수백 명에 달하는 CEO와 임원을 배출해 업계에서 'CEO사관학교'로 불릴 정도다. 이런 상황이니 굳이 밖에서 사장 후보를 찾을 필요성을 못 느낀 이유가 크다.
그럼에도 사추위는 사장 선임 일정을 급박히 변경하면서까지 외부에서 후보 찾기에 나섰다. 십여 명에 달하는 후보군이 거론된 끝에 결국 기존 두 후보(박영식·이훈복)가 아닌 박창민 전 현대산업개발 사장과 조응수 대우건설 전 부사장이 최종 후보로 압축됐다.
하지만 오래지 않아 박창민 후보의 사장 선임이 확실해지자 내부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불거졌다. 기존에 거론됐던 두 후보를 제칠 정도로 우수한지 의문이라는 점에서다.
특히 박 후보가 해외경력이 없다는 점이 입방아에 올랐다. 박 후보가 몸담았던 현대산업개발은 대우보다 몸집이 작은데다 국내 주택사업을 주력으로 한다.
게다가 박영식 당시 사장의 임기 종료 시점을 감안하면 '최고 경영자 부재' 리스크가 제기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박창민 후보가 한국주택협회장 출신으로 정계 인맥이 많다는 '배경설'에 사추위의 불투명한 선임 과정 등도 의혹의 불씨를 키웠다. 자연스럽게 '낙하산 논란'이 불거졌다.
사추위가 박창민 후보의 사장선임을 강행하자 노조가 반기를 들었다.
노조는 "대우건설은 현대건설이나 삼성물산 등 다른 경쟁사와 달리 오너가 없어 지배구조상 CEO가 중대 사안을 결정해야 하는 민간 건설사"라며 "능력과 실무경험이 아닌, 정계 인맥의 낙하산 인사를 (사장 자리에)앉혀서는 안 된다"고 성토했다.
투명한 절차 공개 등도 요구했지만, 이런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모든 의혹과 논란에도 박 사장은 지난해 8월 사장에 올랐다.
노조는 무엇보다 정경유착을 뿌리뽑고 다시는 낙하산 사장이 나오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건설기업노조는 지난 19일 성명서를 내고 "최순실 게이트는 정경유착의 폐단을 상징한다. 문재인 정부는 이를 적폐로 규정하고, 개혁 대상으로 보고 있다"며 "건설업계를 개혁하려면 이같은 정경유착을 청산하는 것이 과제"라고 지적했다.
또 김현미 국토교통부 후보자를 향해 "낙하산 인사나 관피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라며 "장관이 되면 이같은 관피아 문제를 과감히 개혁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