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민영화, '신의 한 수' 된 과점주주 매각

김장수 기자 / 기사승인 : 2016-11-13 22:15:59
  • -
  • +
  • 인쇄

윤창현(왼쪽 세 번째)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금융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우리은행 과점주주 매각 관련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정부와 예금보험공사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의 ‘우리은행 과점주주 매각 낙찰자 선정안’ 의결을 거쳐 낙찰자 7개사(매각물량 29.7%)를 최종 선정했다. 2016.11.13.
 

[세계타임즈 김장수 기자]우리은행이 5번째 도전 끝에 민간금융의 품에 안겼다.
정부가 산고(産苦)에 비교했을 만큼 쉽지 않았던 우리은행 민영화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 채택을 통해 마침내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


금융위원회는 13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고 우리은행 과점주주 매각을 위해 총 7개 투자자에 지분 29.7%를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IMM 프라이빗에쿼티(6.0%),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생명, 동양생명, 유진자산운용(이상 4.0%), 미래에셋자산운용(3.7%) 등이 지분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정부는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이후 부실금융기관을 정리하면서 우리은행을 소유하게 됐다.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은 12조7663억원이었고, 이번 과점주주 매각 전까지 8조2869억원을 회수(회수율 64.9%)했다.


이후 정부는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총 4차례에 걸쳐 경영권 매각을 추진했지만 유효수요 부족 등으로 번번이 고배를 들었다. 한마디로 지분을 모두 매입하려는 투자자를 찾지 못한 것이다.


공자위는 여러 환경적 제약 하에서 성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식으로 매각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데 뜻을 모았다.


결국 지난해 7월 지분을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방안을 마련했고 이후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지난 8월 매각공고 후 총 18곳이 예비입찰에 참여했고, 본입찰에서는 공자위가 정한 예정 가격(입찰 가격 하한선)을 넘은 투자자가 8곳이나 됐다.


정부는 예보가 보유한 지분 51.06% 중 30%를 시장에 넘길 예정이었는데 본입찰에 참여한 8개 투자자가 희망한 총 인수 지분율은 33.677%에 달했다.


최종 낙찰자 선정 후에도 기존 목표였던 30% 내외의 지분을 처리하며 사실상 매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정부는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해 과점주주 방식의 매각을 시도한 것에 대해 큰 의미를 부여했다.
임 위원장은 "과점주주 형식의 매각 방식은 전세계적으로도 사례가 흔치 않고 특히 국내에서는 과점주주들이 협력해 금융회사를 경영한 사례가 없다"며 "이는 국내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새 모델을 제시한 것과 같다"고 평가했다.


그는 "새로운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델의 성공 여부는 과점주주들에게 맡겨져 있다"며 "다양한 성격의 과점주주들이 기업가치 제고라는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집단지성과 경험을 통해 '합리적인 경영'을 추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 역시 "외환위기 이후 우리은행에 12조원이 넘는 공적자금이 투입됐는데 그동안 민영화가 잘 이뤄지지 않았다"며 "경영권 매각 방식에서 네 번의 실패를 맛본 뒤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택했는데 이것이 일관되게 추진되며 공적자금 회수에 큰 기여를 했다"고 강조했다.  

우리은행의 민영화 성공으로 공적자금 회수율도 크게 높아졌다. 금융위에 따르면 이번 매각으로 공적자금 약 2조4000억원이 회수될 전망이다. 이로 인해 기존 우리은행에 투입된 약 12조8000억원 중 10조6000억원을 되찾게 됐다. 회수율은 64.9%에서 83.4%로 20% 가까이 올랐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김장수 기자 김장수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