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직거래장터 확대…농가 소득과 지역경제 활성화
'2025 한국친환경농업인 전국대회' 성공적 개최, 탄소중립 실천도 강조
환경교육도시 지정…공익적 농업과 지속가능 모델 확립
[양평 세계타임즈 = 송민수 기자] 양평군이 친환경농업의 대표 도시임을 다시한번 확인했다. 한강 상수원을 품은 지역적 한계를 기회로 바꿔 30여 년간 환경을 지키는 농업을 추진해온 결과다. 2005년 전국 최초 친환경농업 특구 지정 이후 양평은 농가 참여와 성과 지표에서 전국을 선도하며 이제는 미래 농업 모델을 제시하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친환경농업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규제 극복의 전략이었다. 군 면적 대부분이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권역과 수도권 자연보전권역에 묶여 계획적 개발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군은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고 수변구역을 보호하는 원칙을 세워 농업의 공익적 기능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했다.
정책의 뿌리는 1997년 ‘제2의 농업부흥운동 선언’에서 시작됐다. 1998년에는 ‘양평환경농업-21’을 선포하며 방향을 구체화했다. 1999년에는 친환경농업대학을 세워 전문 인력을 양성했고, 2000년에는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받으며 제도적 기반을 갖췄다. 주민들은 ‘3가지 안하기 운동(농약사용, 제초제사용, 폐농자재방치 안하기)’ 등에 동참하며 생활 속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특구 지정 이후 양평군은 규제특례를 활용해 정책 효과를 높였다. 도로교통법, 도로법, 옥외광고물법 특례를 통한 ‘차 없는 거리’ 운영과 홍보로 양평 각종 축제의 품격과 안전을 강화했다. 용문산 산나물축제는 2022년 6천700만원이던 판매 규모가 2024년 1억5천700만원으로 확대되며 성장세를 입증했다.
예산 집행도 안정적이다. 2024년 특화사업 97억원의 계획 예산 대비 112억원을 집행하며 115%의 집행률을 기록했다. 친환경농산물 인증 및 양평군 종합브랜드 홍보 강화사업, 농산물 직거래장터, 고품질 친환경농산물 생산기반사업, 왕우렁이 농법지원, 친환경농업인증농가‧마을 육성, 스마트농업 확산보급 등 친환경농업 특화사업을 착실히 이행하였다.
또한, 농업기술센터는 부지 10만8천㎡ 규모에 10동 건물을 갖추고 인증, 분석, 유통, 교육을 통합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농업특구 계획 변경을 통해 사업기간을 2026년까지 연장하고 ‘신규 판로 개척’ ‘탈탄소 영농 컨설팅’ ‘친환경농산물 가공식품 개발 지원’ 등 15개 사업을 추진하며 생산 유통 가공 소비를 아우르는 먹거리 선순환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결실은 지난 9월 19일부터 20일까지 양평에서 열린 ‘2025 한국친환경농업인 전국대회’에서 더욱 부각됐다. ‘친환경 농업 우리의 미래를 위한 가장 아름다운 약속’을 슬로건으로 열린 이번 대회에는 전국 1만여 명의 친환경 농업인이 참가해 정책행사, 학술대회, 품목별 간담회, 전시 체험, 파머스마켓 등을 통해 교류했으며 이번 대회를 통해 지역경제에도 활력을 더했다.
군은 이번 대회를 통해 지난 30년의 성과를 전국과 공유하고 친환경농업의 가치를 탄소중립, 생물다양성, 물환경 보전 등 공익 가치와 연결하며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양평군 홍보대사이자 국제환경운동가 ‘맨발의 사나이’ 조승환씨가 기후 위기의 심각성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얼음 위에 5시간 25분 동안 서있는 세계신기록 도전 이벤트를 펼쳤다. 이는 친환경농업의 중요성과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농업인의 결의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특별한 퍼포먼스로 큰 관심을 끌었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