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의 대표적인 진보성향의 정치인 샌더스가 상원의원으로 있는 주가 바로 버몬트 주이다. 그는 시카고대학을 나온 뒤 나이 40세인 1981년에 캐나다 몬트리올이 멀지 않은 작은 미국의 북부 외딴 도시 벌링턴 시장을 한 뒤 이어 하원의원을 거쳐 나이 80세인 지금도 그는 버몬트 주의 상원의원으로 있다. 한번 정하면 잘 바꾸지 않는 이 근방지역 주변의 정서를 읽게 해 주는 사례이다.
그는 오래 무소속으로 있었는데 요즘은 민주당 경선으로 민주사회주의자(democratic socialism)란 이름으로 종종 대통령 후보에도 나가곤 한다. 그는 일각에서는 너무 비현실적인 이상주의자란 소리도 듣지만, 골수의 마니아도 많은 인기 있는 노 정객이다.
몬트리올이 가까운 바로 아래 쪽 콘월이란 마을은 강만 하나 2-3분 정도 건너면 바로 미국 땅이다. 그러나 이들 지역이 접한 캐나다의 퀘벡주는 다 프랑스어 지역이다. 과거 프랑스가 점령하였다가 영국에게 넘겨준 지역이지만 아직도 문화와 사람은 그대로 프랑스 일색이다.
지금은 토론토 지역이 캐나다의 중심지역이지만 오래 전에는 몬트리올이 중심이었다. 시내 산중턱에 있는 맥길(McGill)대학은 19세기에 만든 명문대학이며, 몬트리올 시내 곳곳에 오래된 공공시설이나 교회, 문화 등의 건축물들이 캐나다 개척기의 유럽문화 열기를 느끼게 한다.
그런데 이 도시를 보면서 느끼는 것은 도시란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오래오래 잘 유지되고 발전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이다.
현대로 시간이 올수록 캐나다는 유럽의 관계에서 미국의 관계로 경제와 사회, 금융교류가 많아지게 되고 그 중심은 점점 뉴욕 주 북부의 공업도시 인근인 온타리오 호수가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점이 바로 캐나다의 중심이 몬트리올에서 현재의 토론토지역으로 옮기게 된 이유이다. 또한 미국이 자동차 산업을 발전시키게 되자 자동차의 메카인 디트로이트와 가까운 지역도 역시 온타리오 주여서 캐나다 발전의 중심은 점점 퀘벡 주인 몬트리올에서 온타리오 주인 토론토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지금 몬트리올은 도시전체의 기반시설 유지관리가 그리 건실하지 못하다. 그런 일은 할 수 있는 활기찬 지역재정이 아닐 것이란 생각은 처음 온 방문자라도 알만한 한가함이 느껴지는 도시이기 때문이다. 유럽의 오랜 도시들처럼 역사적 유물과 번영의 흔적으로 주로 관광객 유입과 그 연관된 수입으로 사는 느낌이 강한 도시이다.
그런데 요즘은 곳곳에 올드 몬트리올 주변의 도시중심부에서 현대식의 20-30층 건물의 도시재생이 좀 눈에 띄는 상황이기도 하다. 특히 1000이란 주소지를 건물이름으로 쓴 랜드마크 건물이 뉴욕의 록펠러센터처럼 이채로웠다. 또 길게 여러 갈래로 조성된 올드 몬트리올의 스트리트 워킹 상권은 파리 샹제리제와 루브르 연결거리처럼 아주 잘 조성한 역사와 현재의 조화로운 문화쇼핑거리 배회경제(corridor economy) 아이디어로 보인다.
얘기를 돌려, 우리나라는 상당기간 동안 남동해안으로 대외교역이 활발했다. 일본의 기술과 자본재가 들어오고, 동남아나 호주 북미 남미 등에서 해운으로 원재료가 들어오는 시기에 부산 울산 마산 포항 등이 상당히 발전을 했다.
그러나 중국으로 점점 공장이 많아지자 이번엔 서해안이 20년 이상은 활기를 찾았다. 특히 경기도의 서해안 일대 도시 인천 일부, 안산, 시흥, 화성, 평택, 충남의 천안, 아산, 당진, 서산, 전북의 군산 등의 두드러진 변화가 그렇다.
그러나 세상은 또 변한다. 아마도 길게 보아 한반도상황이 호전되면 유럽으로 가는 길은 점점 육로로 지향하리라 본다. 바다도 북극해를 이용할 기회가 서서히 많아질 것이다. 점점 우리나라가 북방으로 교류의 길을 열려는 이유가 그래서이다.
서울 강북이나 경기북부는 지나치게 서울 강남이나 경기남부에 비해 한산하고 도시기반이 상대적으로 조금 부족하다. 그러나 결국은 시간의 문제이지 점차 대외거래의 새로운 대외출구는 북으로 가는 철도, 도로, 운하 등의 경로개척일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북부에도 총선거가 멀지 않은 지금, 관련 지역의 정부 큰 그림과 개발정책이 나올 수도 있을 타이밍이다.
얼마 전 경기북부에서 3선에다 지명도도 높고 평판도, 나이도 그다지 큰 짐이 되지 않을 듯한 어느 야당의원이 이번 총선 출마를 포기했다. 물론 정계은퇴는 아니었고, 돌연한 불출마의 변이 자기가 속한 정당주변의 정치개혁을 바라는 자기 헌신적 처신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론 보기에 따라 이들 대북 접경지역의 정치적 미래 이슈가 점점 전통적인 안보정책 선거만이 아닌, 미래의 경제개발정책 선거로도 서서히 전환되어 가는 길목에 있음을 느끼게 해준 의미심장한 징후로도 여겨지기도 한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