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공공주택 용어 우리말 순화작업 추진

심귀영 기자 / 기사승인 : 2022-10-07 14:11:43
  • -
  • +
  • 인쇄
- 공공주택 실내·외에서 사용하는 외국어 용어와 명칭을 우리말로 변경 노력
- 신규 주택건설 사업승인부터 우리말 사용 시범 적용 검토

[세계타임즈 = 심귀영 기자] LH는 한글날을 맞아 실시한 ‘우리 집 이곳저곳 우리말로 바꿔주세요’ 공모전 결과를 지난 6일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제576돌 한글날을 맞아 발코니, 팬트리, 알파룸, 키즈 스테이션, 게스트하우스 등 공공주택에서 자주 사용되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꾸기 위해 시행됐다.

공모는 발코니, 팬트리, 알파룸, 키즈 스테이션, 게스트하우스 총 5개 단어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977명이 공모전에 참여해 주택에서 사용되는 외국어를 국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데 동참했다.

 공모 결과, 덧마루, 더누리방, 쌈지방, 새싹 정류장, 공동 사랑채가 각 단어별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수상작은 우리말 관련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공공주택에서 사용되는 외국어 순화 작업에 사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LH는 수상작 이외에도 이번 공모전에 제출된 용어 중 국민 누구나 알기 쉽게 풀어쓴 용어 등을 선별해 외국어 순화 작업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공모전 수상작은 (사)한글문화연대 누리집(www.urimal.org)과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www.plainkorean.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리말 순화 용역


 한편, LH는 지난 8월부터 (사)한글문화연대와 ‘공공주택에서 사용되는 외국어 우리말 순화 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용역은 주택 건축 도면, 안내 책자 등에 나오는 외국어 사용 현황을 조사하고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꾸기 위해 추진됐다.

 현재까지 외국어 총 500여 개를 조사하고 전문가 회의를 거쳐 순화 적합성 등을 평가했다. 의미를 충분히 담을 수 있는지, 이미 다듬은 적이 있는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용어를 살펴 외국어를 우리말로 순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화장실에서 세면도구 등을 두기 위해 설치하는 ‘젠다이’는 다듬은 말 사전에서는 ‘차선반’으로 순화해서 쓰고 있으나, 이는 차를 두는 선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사용 예시와 맞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에 LH는 누구나 뜻을 이해할 수 있도록 ‘좁은 선반’으로 단어를 바꿀 예정이다.

 LH 관계자는 “신규 주택건설 사업승인부터 이번 공모전 및 용역 결과를 시범 적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라며 “공공주택에서 우리말이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