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교섭단체 연설·대정부질문서 총선 민심 여론전 나설듯
재표결의 키를 쥔 민주당은 이를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민주당 원내 관계자는 재표결 시점도 의원들의 총의를 모아 결정해야 한다며 2월 임시회에서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이를 두고 국민의힘 공천 탈락자 등의 반란표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대통령 거부권이 행사된 법안의 재의결에는 재적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하다.4·10 총선 선거구 획정을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안 처리도 관심사다.중앙선관위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난해 12월 제시한 획정안은 서울과 전북에서 각 1석을 줄이고, 인천·경기에서 각 1석 늘리는 안이다.국민의힘은 획정위안을 최대한 존중해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획정위안이 여당 강세 지역인 서울 강남은 손대지 않고 민주당 우세 지역 의석만 줄인다며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여야는 2월 국회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과 대정부질문 등을 통해 총선 승리의 당위성을 내세우는 여론전도 펼칠 전망이다.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는 21일 대표연설에서 거야(巨野)의 입법 독주를 비판하면서 정치 개혁과 국회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한편, 민생법안 처리의 필요성 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는 20일 대표연설에서 25년 만에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일본에 뒤지는 등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민생경제가 침체했다는 주장을 통해 경제 실정 심판론 등을 내세울 것으로 예상된다.22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대정부질문에서도 정부·여당과 야당은 대립각을 세울 것으로 점쳐진다.국민의힘은 이번 대정부질문에서 민생에 방점을 두겠다는 방침이다.의대 정원 확대와 이공계 지원 확대 등 분야별 민생 현안을 정부에 묻고, 필요하다면 관련 입법의 중요성도 언급한다는 계획이다.민주당은 현 정부의 국정운영을 총체적 실패로 규정하는 만큼 이를 분야별로 부각할 것으로 보인다.지난 16일 한국과학기술원 졸업식에서 녹색정의당 대전시당 대변인 신분의 졸업생이 윤 대통령에게 R&D(연구·개발) 예산 삭감을 비판하며 소리를 지르다 강제로 퇴장당한 일 등을 추궁할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