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세대 43% 출산 안해 女"필요 못느껴 男 여유없어"

박서원 / 기사승인 : 2024-09-01 17:52:21
  • -
  • +
  • 인쇄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2040세대 심층인식조사 결과 공개

[세계타임즈 = 박서원 기자] 20∼49세 남녀 43% 가까이는 출산할 의향이 없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단 이들 중에서 44% 상당은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대폭 확대되면 출산을 고려할 수 있다고 답했다.한반도미래연구원은 최근 리서치업체 엠브레인과 함께 전국의 20∼49세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결혼과 출산에 대한 심층 인식조사를 벌여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설문 결과 미혼남녀(1천164명)의 절반인 53.2%가 결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결혼 의향이 없다는 27.4%, 잘 모르겠다는 19.4%였다.결혼 의향이 없다는 응답자는 성별로 여성(34.6%)이 남성(21.5%)보다 높았다.결혼을 기피하는 이유로 남성은 경제적으로 불안해서(20.1%)를, 여성은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할 것 같아서(17.6%)를 꼽았다.출산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전체의 42.6%에 달했고, 여성이(52.9%) 남성(33.1%)보다 많았다. 연령별 비출산 의향은 40대가 63.9%로 가장 높았고 30대와 20대가 각각 35.2%, 23.6%였다.출산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 여성은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3.9%),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12.7%), 자녀 교육에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10.7%) 등의 순으로 답했다.남성은 고용상태-직업이 불안정하다고 느껴서(17.9%),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16.0%),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0.5%) 등이었다.다만 결혼이나 출산 의향이 없더라도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확대되면 생각을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이 상당했다.결혼 생각이 없는 미혼 남녀 544명 중 38.6%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늘어나면 의향을 바꿀 수 있는 유동층이었다. 반면 61.4%는 정부 정책이나 기업 지원과 무관하게 비혼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고정층이었다.출산 의향이 없는 1천245명 중 44.1%도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대폭 확대되면 출산 의향이 있다고 했다. 반면 55.9%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과 무관하게 비출산 입장을 고수했다.정부 저출산 지원대책 중에서는 육아휴직 확대와 급여지원이 100점 만점에 73.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부모급여 및 아동수당 월간지원(70.5점), 어린이 병원비 경감(68.4점), 아이 돌봄 지원사업(68.3점), 국공립 어린이집 및 유치원 증설(63.7점) 순이었다.기업 지원의 경우 자녀 학자금 지원(72.0점), 자녀 보육비 지원(70.7점), 자동 육아휴직제도(69.9점),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69.0점), 남성 육아휴직 의무화 제도(68.8점) 등으로 높이 평가받았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