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려견 순찰대, 사진=btv뉴스 캡처 |
[세계타임즈 = 백진욱 기자] 최근 새로운 치안 모델인 '반려견 순찰대' 도입을 두고 군포시에서는 시대에 맞는 치안 모델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반려견 순찰대는 반려견과 함께 지역을 산책하며 범죄 예방과 안전 점검을 수행하는 주민 참여형 치안 활동으로, 서울시를 비롯한 여러 지자체에서 시행되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반려견 순찰대 도입을 지지하는 주민들은 1,500만 반려동물 시대에 맞는 새로운 치안 모델로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2022년 시범 사업을 통해 범죄예방 신고 317건, 생활안전 신고 2,187건 등의 성과를 기록하며 공동체 치안문화 형성에 기여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부산, 인천 등 다른 지자체에서도 반려견 순찰대가 확대 운영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해 시범 운영을 통해 112 긴급 신고 39건, 생활 불편 신고 191건 등 총 230건의 신고를 처리했다.
이혜승 군포시의원은 “장기적으로 보면 인구가 감소하고 반려동물이 증가하고 있는 새로운 시대의 추세를 고려해야 한다”며 “타 지역의 사례만 봐도 긍정정 효과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반려견 순찰대를 활용해 주민 참여형 치안 활동을 늘림과 동시에 동물 친화적인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군포시의회 상임위원회는 더 깊은 논의를 위해 지난 3일 '반려견 순찰대 지원 조례안' 심의를 보류했다.
반려견 전문가들은 반려견 순찰대가 주민 참여를 통한 치안 강화와 반려견 사회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이에 군포시에서는 추후 예산 활용 등 현실적인 고려 사항을 반영해 정책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대전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